#THIS ul {list-style:none;} #THIS ul a {display:block !important; text-align:right; margin-top:15px; font-size:18px; }$('#THIS .c-ul').append($('.layout-baro').clone());
#THIS ul {list-style:none;} #THIS ul a {display:block !important; text-align:right; margin-top:15px; font-size:18px; }$('#THIS .c-ul').append($('.layout-menu').clone());
한국 근대에 교회음악이라는 이름으로 수용된 서양음악이 교회음악으로서, 서양음악으로서 어떻게 음악계에, 한국교회에 영향을 미쳤왔는지를 사회사적 측면에서 조명한 책이다.
뿐만 아니라 찬송가를 둘러싸고 한국기독교계가 어떠한 문제들을 일으켜 왔는지를 밝혀내고 있다.
본 저서의 특징은 지금까지 발굴되지 않았던 1890-1940년까지의 원전자료들을 수집하여 명확한 역사적 근거를 통하여 조명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근대 서양음악이 수용되던 시기의 교회음악은 한국기독교사와 한국음악사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근대의 찬송가는 교회음악과 서양음악이라는 두 성격을 동시에 가졌는데, 일반인에게는 서양음악으로, 기독교인들에게는 교회음악으로 받아 들여졌다. 곧 '찬송가 대 한국전통음악'은 한국인에게 '서양음악 대 한국전통음악'이라는 등식이 성립되었던 것이다.학교에서 창가라는 서양음악이 가르쳐지고, 한국인 제1세대 음악가들(김인식, 홍난파)이 활약하기 이전에 대중에게 알려진 서양음악은 오직 교회음악뿐이었다.
본 저서는 한국 근대에 교회음악이라는 이름으로 수용된 서양음악이 교회음악으로서, 서양음악으로서 어떻게 음악계에, 한국교회에 영향을 미쳤왔는지를 사회사적 측면에서 조명한 책이다. 뿐만 아니라 찬송가를 둘러싸고 한국기독교계가 어떠한 문제들을 일으켜 왔는지를 밝혀내고 있다. 특히 본 저서의 특징은 지금까지 발굴되지 않았던 1890-1940년까지의 원전자료들을 수집하여 명확한 역사적 근거를 통하여 조명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저서는 단지 한국교회음악의 수용을 넘어, 서양음악의 수용, 기독교의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음악사와 한국기독교사의 한 개별사라는 인식을 가지고 서술되었다. 그리고 한국의 양악이, 교회음악이 단순히 선교사들의 선교의 결과가 아닌(선교음악사) 한국인들의 주제적 인식을 가지고 수용된 것(민족교회음악사)임을 밝히고 있다.
저자 / 역자 소개
문옥배 ...
목 차
머리말
01. 서 설 : 한국 교회음악의 연구 상황과 과제
02. 초기 찬송가의 전래 과정
03. 초기 찬송가의 사회 문화적 영향
04. 초기 선교에 있어서 교회음악의 영향
05. 근대 교회음악의 한국화시도
06. 근대의 교회음악관
07. 근대 찬송가의 노랫말 번역상의 문제와 번역 방법
08. 근대 찬송가를 둘러 싼 교회의 연합과 분열
09. 근대 민족 교회의 형성과 찬송가
10.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찬송가 통제
11. 초기 찬송가의 수용 경로
12. 근대 찬송가 해설의 변화와 그 의미
13. 근대 찬송가집의 편찬자·번역자
부 록:
- 한국 근대 공인 찬송가집 초판 목록
- 한국 근대 찬송가집 계보도
- 한국 근대 찬송가집 목록